|
▲ 28일 열린 제주장애인인권포럼 '전기차 충전소 장애인 접근성' 모니터링 결과 발표. ⓒ헤드라인제주 |
제주지역 전기차충전소가 장애인들이 이용하기 적합한 곳이 사실상 전무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사단법인 제주장애인인권포럼(상임대표 고현수)은 28일 오후 2시 제주도의회 도민의방에서 '전기차 충전소 장애인 접근성' 모니터링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모니터링은 지난 10월과 11월 두달간 제주도지역에 설치된 공공.민간영역 전기차 충전소 440곳 가운데 묻이 닫혀있던 6곳과 미설치 또는 철거가 이뤄진 12곳을 제외한 402곳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중 293곳이 완속충전소, 109곳이 급속충전소로 나타났다.
모니터링에는 장애인 10명이 참가했으며, △접근성 △충전기 사용가능 여부 △사용방법 안내여부 등에서 유효폭.바닥표면.충전기 높이.충전케이블 높이.스크린 높이.설명서부착여부 6개 항목에 대해 적절.부적절로 평가했다.
장애인인권포럼은 여러 항목 가운데 하나라도 부적합하게 설치돼 있다면 장애인들이 이용하기 어려움이 있거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보고 부적합으로 분류했다.
분류 결과 모든 충전소가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유효폭을 만족시킨 경우는 97곳에 불과했으며, 바닥표면의 경우 54곳이 부적절한 것으로 조사됐다.
충전소 접근성과 함께 충전기 케이블과 스크린의 적절설치에서는 349개가 부적절하다는 판정을 받았다.
이를 완속과 급속으로 구분해 보면 완속은 케이블이 적절한 경우가 47곳, 적절한 스크린높이 16곳으로 나타났고, 급속은 충전케이블 높이가 적절한 곳이 6곳에 불과했다. 이는 충전기를 설치할때 바닥 부분에 철제나 시멘트로 높이를 높여 설치하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사용설명서의 경우 부착된 곳이 완속 50곳과 급속 43곳에 불과했다.
장애인인권포럼은 전기차 충전소의 문제점으로 △충전기 앞 철제 구조물로 인한 유효폭 미확보 △장애인을 고려하지 않은 충전기.케이블.스크린 형태 △설명서 미설치 또는 훼손 △충전소 부식 등 관리 부실 등을 꼽았다.
또 전기차 충전소와 관련해 현재 법적으로 장애인들을 위한 설치기준이 없는 점도 지적했다.
이어 장애인들도 함께 이용하기 편리한 전기차 충전소 가이드라인으로 △유효폭 1m 확보 △평평한 바닥 △충전소.케이블.스크린 높이는 1.2m 이하 △전기차 충전기 사용설명서 부착 등 기준을 제시했다.
이응범 제주장애인인권포럼 사무국장은 "현 제주도정의 주요 공약인 유니버설디자인의 가치와 철학에 입각해 장애인을 비롯한 교통약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전기차 충전소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에 따르면 2016년 3월 기준 제주도에는 총 2360대의 전기차 보급이 이뤄졌으며, 이중 장애인 관련 보급대수는 114대로 전체 보급대수의 5%에 해당하고 있다.<헤드라인제주>
|
▲ 28일 열린 제주장애인인권포럼 '전기차 충전소 장애인 접근성' 모니터링 결과 발표. ⓒ헤드라인제주 |